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버드 스트라이크 (항공기와 조류의 충돌)

by chocoyo 2024. 12. 29.
반응형

버드 스트라이크는 항공기 안전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입니다. 오늘은 버드 스트라이크가 정확히 어떤 건지, 원인과 예방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버드 스트라이크 뜻

버드 스트라이크는 비행하는 항공기와 새가 충돌하는 사고를 말합니다. 보통 높은 곳보다는 이착륙이 가능할 정도의 저도고 비행 중에 주로 발생합니다. 가장 위험한 것은 새가 비행기 엔진 안으로 들어가는 경우입니다. 이것은 엔진 고장으로 이어져 정상적인 주행이 어렵습니다. 

 

 

 

'비행기는 크고 새는 조그마한데 부딪히는게 뭐가 위험할까?'라는 의문이 드는데요. 비행기는 이륙을 위해 몸체를 최대한 가볍게 만듭니다. 보통 합성소재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이로 인해 기체가 얇아져 충돌에는 약한 요인이 됩니다.

 

버드 스트라이크 발생원인

조류는 자연상태에서 천적을 피하기는 하지만, 천적이 접근한다고 해서 대체로 30m 이내에 들어와야 피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그보다 멀리 있다면 굳이 피하려 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왜냐하면 새는 비행 중에 방향전환이나 회피를 하는데 큰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가까이 와야 움직이는 겁니다. 야생에서는 이렇게 해도 회피가 되지만, 자신들보다 훨씬 빠른 항공기에는 피하지 못하고 버드 스트라이크가 일어나게 됩니다. 

 

그럼 왜 공항에 새가 많을까요?

공한은 활주로 주변이 안전상의 이유로 관리가 잘 되어있고, 사람들은 출입이 제한되어 있죠. 천적들도 비행기 이착륙 소리에 근처에 없다보니 먹잇감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새가 공항 주변에 많이 있게 되죠.

 

거의 모든 공항에서 조류퇴치반이 있고 인천공항역시 조류 퇴지하는 분들이 정직원으로 될 만큼 공항에서는 민감한 사항입니다. 

 

 

버드 스트라이크 예방

1. 서식 환경

공항 주변에 정기적으로 풀을 깎고, 먹이들을 제거하는 작업을 합니다.

2. 음파 퇴치기와 드론 활용

새들이 싫어하는 주파수를 이용해 공항에서는 음파퇴치기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드론을 이용해  새를 공항 근처에서 쫓아내기도 합니다.

3. 공포탄

공포탄을 발포해 새들을 쫒아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러 번 하다 보면 위협을 주는 것이지,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게 아니라고 알게 되면 공포탄을 발포해도 피하지 않게 됩니다.

 

버드 스트라이크는 항공 산업이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조류와의 공존을 위해 서식지 관리 방안도 연구중에 있습니다. 항공 안전을 위해서 많은 비용이 들어가지만 기술적, 환경적 노력이 모두 필요해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